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디스코드 봇 추천
- 슷칼봇
- 디스코드주식봇
- 개발
- 웹개발
- 디스코드 게임 봇
- 디코 봇
- 디스코드 도박 봇
- 팀 큐빗
- 디코봇
- 디스코드 주식
- 디스코드봇
- 마쵸봇
- 마쵸
- 프로그래밍
- 백엔드
- 개발자
- JS
- 코딩
- 디스코드
- 마쵸봇 링크
- 디스코드 주식 봇
- 디스코드 봇
- 디코
- 프론트엔드
- 회고록
- 자바스크립트
- javascript
- 디스코드 추천
- 주식봇
- Today
- Total
Archivio di Sngjoo
[회고록] 200명의 유저를 갖기까지 본문
마쵸봇의 유저 수가 어느덧 200명이 됐다.
오늘(2021.12.12) 기준으로 201명의 유저를 확보했고, 100개의 서버에 초대되었다.
이것은 마쵸봇 정식 출시(2021.11.05) 약 1달 후인 시점으로,
나에겐 엄청난 성과이고,
다른 어떤 것들보다 큰 동기부여가 됐다.
마쵸봇을 운영하는 한 달 동안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다.
서버가 여러 번 죽기도 하고,
심각한 버그들이 생기기도 하고,
유저들의 데이터가 모두 변형되거나,
사용자들이 혹평을 남기기도 했다.
1. 성장
이런 일들을 거쳐오는 과정에서
나는 정말 많이 성장했다.
끔찍한 버그들에 대응하면서 문제 해결 능력이 정말 좋아졌고,
팀원들, 유저들과 지속적으로 소통하며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향상됐다.
또, 다른 개발자분들의 코드를 보거나
그분들에게 코드 리뷰를 받으면서
내 코드의 퀄리티가 정말 많이 향상됐음을 느낀다.
한편, 마쵸봇도 내가 상상할 수 없을 만큼 성장했다.
혼자서 버그들과 기능 개발에 끙끙 앓고 있을 때에는
유저가 거의 없었고,
사용하는 서버들도 2개 정도밖에 되지 않았다.
그런데 지금 참여 서버가 100개가 되어 인증을 할 때까지 초대를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2. 유입
디스코드 봇은 한 사람이 서버에 초대하면 해당 서버에 있는 다른 사람들이 그 봇을 또 자신의 서버에 초대할 수 있다.
그래서 디스코드 봇은 조금이라도 봇이 유명해지면 성장 곡선이 기하급수적으로 가팔라진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단점으로는 서비스 초반에는 유저를 모으기 정말 힘들다는 것이다.
나는 이 초반 유저 유입을 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해왔다.
먼저, 나는 내가 말하긴 좀 그렇지만 개발자이기 전에 어느정도 규모가 있는 커뮤니티들을 운영하고 있는 자칭 "인플루언서"였기 때문에 그런 커뮤니티에 마쵸봇을 초대하고, 홍보하는 것만으로도 유입이 어느 정도 됐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한계가 분명히 있었기 때문에 나는 다른 디스코드 서버들에도 많이 홍보를 하고 다녔다. 내가 생각하기에 이 방법이 유저 유입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 같다.
또, 마쵸봇이 어느 정도 안정화되고, 유저 수가 모였을 때 마쵸봇을 KoreanBots라는 국내 최대 규모의 디스코드 봇 리스트 사이트에 등재했다.
이 사이트에는 '하트'라는 시스템이 있다. 하트를 많이 받을 수록 상단에 봇이 추천된다. 나는 이 시스템을 활용해 유저들이 하트를 누르면 보상을 지급하는 기능을 추가해 현재까지도 꽤 상위 랭크에 마쵸봇이 올라가 있다. 이 방법도 직접적인 홍보 못지않게 효과적인 방법이었다.
3. 시즌
마쵸봇을 약 한 달 동안 운영하면서 3번의 시즌을 거쳤다.
시즌 1은 <희비주식>으로 간단한 주가 변동 알고리즘과 거래 기능만 있는 아주 간단한 주식 봇이었다. 이 때는 사실상 유저가 많이 모이지 않았다.
시즌 1을 진행하는 동안에는 여러가지 기본 기능들과 잡다한 버그들을 해결하는데 급급해 마케팅이나 운영 부분에 큰 신경을 쓸 수 없었다.
시즌 2는 <언론 투자>로 주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신문을 추가해 더욱 큰 재미와 전략적 요소를 추가했다. 이 때 유저들이 많이 모이기 시작했으며, 마케팅과 운영에 신경을 많이 쓸 수 있게 되어 마쵸봇이 많이 성장한 것 같다. 시즌 2를 진행하는 동안 지금 같이 딜라이트 스튜디오를 만들어가고 있는 크루원들도 많이 모셔왔다. 아마 시즌 2가 마쵸봇을 운영하는 동안 가장 열심히 해왔던 시즌이 아닌가 싶다.
시즌 3는 <익스트림>으로 여러가지 아이템들과 신문 갱신 시간 단축으로 더욱 스릴 넘치는 투자를 유도했다. 사실 시즌 3는 의도치 않게 진행됐는데, 그 이유는 다른 기능 개발을 진행하다 잘못 짜여진 코드를 배포해 심각한 버그들이 터져나왔기 때문이다. 도저히 시즌 변경 외에는 복구할 방법이 없어 어쩔 수 없이 구색 맞추기 식으로 급하게 기능을 개발해 시작된 시즌이다. 하지만 의외로 사람들은 이 시즌을 좋아해줬고, 가장 많은 유저들이 유입된 시즌이다.
다음 시즌은 12월 15일에 시작될 <프리시즌>이다. 프리시즌은 시즌 4를 위한 준비 시간을 갖기 위한 시즌이다. 우리가 프리시즌을 갖기로 결정한 이유는 간단하다. 내가 어려서다. 디스코드는 봇이 서버 100개 이상 참여하려면 개발자가 공식 인증을 받아야 한다. 공식 인증을 위해선 내가 만 14세가 되어야 하는데, 나는 아직 만 14세가 아니기 때문에 마쵸봇은 서버 100개에서 성장을 멈춰야할 수밖에 없었다.
불행 중 다행인 것은 내 생일이 1월 25일이라 조금만 기다리면 인증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프리시즌 동안 시즌 4를 위한 기능 개발과 해커톤, 그리고 신규 봇을 준비하기로 했다.
4. 마쵸봇의 성장 이유
마쵸봇과 딜라이트 스튜디오는 내가 상상한 그 이상으로 성장했다.
원래 유명했던 주식 봇인 팀 크레센도의 슷칼봇이 서비스 종료를 한다고 해서 만든 자그마한 봇이,
유저 200명을 달성할 거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
유저들은 슷칼봇과 다른 주식 봇들 말고,
우리의 마쵸봇을 선택해주었다.
"과연 그 이유가 무엇일까?"라고 생각해보았을 때,
유저들의 후기에서 답을 찾을 수 있었다.
먼저, 빠른 주가 변동이었다. 나는 마쵸봇을 처음 만들 때 슷칼봇을 즐기던 기억을 떠올려보았다. 다 재밌었는데, 단 한 가지 아쉬웠던 점은 주가 변동 주기가 너무 길었다는 것이다. 주가 변동이 5~6분이니 당연히 지속적으로 즐기기도 어려웠고, 너무 루즈해졌다. 그런 슷칼봇의 단점을 보완해 나는 마쵸봇의 주가 변동 주기를 1분으로 했고, 이는 유저들에게 가장 큰 매리트로 다가왔다.
한편, 우리는 유저들의 의견에 매우 귀를 기울였다. 딜라이트 스튜디오 공식 서버에 가보면 후기 채널, 피드백 채널, 후기 구글 폼, 버그 제보 채널 등 유저들이 직접적으로 봇에 대한 의견을 전달할 수 있는 공간을 많이 마련해두었다. 유저들의 의견을 듣는 것에는 많은 이점들이 있다. 유저들은 누구보다 마쵸봇을 객관적으로 판단해줄 수 있는 사람들이다. 마쵸봇의 어떤 것이 좋고, 또 어떤 것이 부족한지 정확하게 알려준다. 또, 우리는 항상 아이디어에 목이 마르다. 유저들의 피드백은 그 갈증을 해소시켜 주는 아이디어의 오아시스 같은 존재들이다. 유저들의 피드백들을 즉각적으로 반영하면서 유저들에게 더욱 좋은 경험과 컨텐츠를 제공해줄 수 있었다.
5. 마쵸봇의 구성
많은 분들께서 마쵸봇의 기술 스택을 궁금해하셨다.
마쵸봇은 Javascript 기반의 discord.js를 활용한 봇이다. 파이썬 대신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한 이유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첫 번째로 나는 파이썬보다는 자바스크립트를 훨씬 즐겨썼고, 자신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비교적 자신있는 자바스크립트를 선택했다. 두 번째로 퍼포먼스적인 문제가 있었다. 슷칼봇을 이용하면서 불편했던 점이 하나 더 있었는데, 바로 요청 후 응답의 시간이 너무 길었다는 점이다. 주식 봇의 특성상 빠르게 주가를 확인하고 거래를 해야 하기에 많은 요청과 빠른 응답을 동시에 버텨내기 위해선 비교적 퍼포먼스가 빠른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해야겠다고 판단했다.
데이터베이스로는 mongoose를 이용해 mongoDB를 사용하고 있다. mongoDB를 사용하게 된 계기는 조금 부끄러운데, 사용하기 쉽고 간편해서다. mongoDB를 사용하기 전에 postgres와 mysql을 고려해봤지만 설치하고 설정하고 하는 과정들이 너무 귀찮아서 웹사이트(mongoDB atlas)에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mongoDB를 사용했다. 그 결과, 현재 매우 만족하면서 사용하고 있다.
서버로는 디스코드 봇 호스팅 계의 근본이라 불리는 Heroku를 사용하고 있다. 마쵸봇으로 창출되는 수익이 없기에 무료 호스팅을 사용해야 했고, 그 결과로 헤로쿠를 사용하기로 결정했다. 아직까진 그렇게 트래픽이 많지 않아 헤로쿠를 사용하고 있다. 헤로쿠의 단점으로는 24/7 호스팅 시간 제한이 있어 계정 2개를 번갈아가면서 돌려야한다는 것이다... 나중에 조금이라도 수익이 생긴다면 다른 호스팅을 사용할 의향이 있다.
차트는 chart.js를 사용한다. chart.js는 웹용이라 canvas가 필요한데, node-canvas 모듈이 내 컴퓨터에 설치되지 않아 꽤 골머리를 앓았다. 하지만 chartjs-to-image라는 모듈로 간단하게 이미지 링크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다. chartjs를 사용하는 이유는 가장 보편적인 자바스크립트 차트 라이브러리이기도 하고, 사용하기도 간편하기 때문이다.
6. 마무리
마쵸봇을 1개월 동안 운영해오면서 많은 것을 배우며 성장했고, 앞으로의 여정이 매우 기대된다.
짧은 시간동안 많은 성장을 이룩한 만큼, 유저분들의 기대를 충족시킬 만한 컨텐츠들과 봇들을 개발하고 있으니, 조금만 기다려주셨으면 한다. 그리고 마쵸봇을 사랑해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을 전하고 싶다.
그럼 이 글이 도움이 됐으면 하며,
글을 마치겠다.
'개발 일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전, 발전, 그리고 비전 : #1 도전 (0) | 2023.02.15 |
---|